연못 시설 확인·청자 편도 출토…10~12세기 조성 추정

장흥 용화사에서 고려시대 건물터의 기초부가 확인됐다고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밝혔다.
용화사 경내에서 진행 중인 발굴조사 결과 석조약사여래좌상 앞쪽 서남편에서 고려 시대에 조성된 건물터의 기초부가 일부 확인됐다.
건물터에는 주춧돌 하부의 적심석(돌을 쌓을 때 안쪽에 쌓는 돌) 4곳과 전면 석축 기단 9m, 후면 석축 기단이 약 3m가 남아 있었다.
기단 앞쪽으로는 산에서 내려오는 물이 모이는 작은 연못 시설이 있었고, 건물지 내부에서는 통일신라 말과 고려 시대 사이의 기와 조각과 11세기대 고급 청자 편도 다수 출토됐다.
이 밖에 아궁이 시설과 돌로 만든 경계인 석렬(石烈) 등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어 최소 세 차례 이상 건물 개축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나주문화재연구소는 설명했다.
건물지의 연대는 출토 유물로 미뤄 10~12세기로 추정된다.
또한 '○風寺'(○풍사)라고 추정되는 기와 조각이 출토돼 사찰 명칭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장흥 용화사에는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된 석조약사여래좌상(전남유형문화재)이 있다.
작년 이 불상이 있는 건물 앞마당에서 통일신라 소형금동불상과 납·수정으로 만든 구슬이 발견돼 지난 4월부터 사찰 경내에 대한 발굴조사가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장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