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원 추진위원장 범도민 분위기 조성 ‘박차’
가사문학 발원지, 장흥은 살아있는 문학박물관

한승원 국립한국문학관 장흥유치 추진위원회 위원장은 지난달 24일 장흥군민회관에서 열린 ‘국립한국문학관’ 장흥 유치 성공을 기원하는 결의대회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세계 3대 문학상인 맨부커상을 수상한 한강의 부친인 한 위원장은 “장흥의 경우 한국 가사문학의 발원지이자, 현대문학의 요람으로 2008년도에 국내 최초로 유일하게 문학관광기행특구로 지정된 지역이고 장흥 출신 작가의 작품이 해외 12개국에 번역 출간돼 국내 문학의 해외 진출을 주도하는 등 살아있는 문학박물관이라 할 수 있는 문학의 본향”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국립한국문학관은 당연히 장흥에 건립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 “장흥은 전남도가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남도문예 르네상스’ 프로젝트 문학분야의 중심지이자, 가사문학의 효시 관서별곡의 저자 기봉 백광홍을 비롯해 제3세대 한국문학전집에 수록된 24인 중 3인(이청준, 한승원, 송기숙)이 수록됐다”고 강조했다.
국립한국문학관 장흥유치 추진위원회는 지난 24일 장흥군민회관에서 문학단체 회원 및 사회단체 임직원, 군민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한국문학관’ 장흥 유치 성공을 기원하는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결의대회는 유치 추진위원회와 전남문인협회(회장 박형동)가 공동 개최하고 광주전남작가회의와 시인협회, 장흥 문학단체 및 사회단체에서 주도적으로 참석해 200만 도민의 뜨거운 성원을 담아 성공유치를 위한 힘찬 결의를 다졌다.
행사에서는 국립한국문학관 장흥유치 추진상황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위원장인 한승원 작가의 대회사, 김석중 작가의 ‘한국문학, 남도문학, 왜 장흥인가?’ 기조발표, 광주전남작가회의 대표의 유치 결의문 낭독 순으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현대문학 등단작가 120인을 배출해 한국 대표문인들을 연계하는 ‘문학벨트‘ 형성이 가능한 지역임을 내세우고 이청준 생가, 한승원 해산토굴, 영화 천년학 세트장, 천관문학관, 천관산문학공원 등 수많은 문학자원을 활용한 문학기행 지역으로도 손색이 없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국립한국문학관은 지난 2월 제정된 ‘문학진흥법’에 따라 2020년 개관을 목표로 국비 450억 원을 투입하는 한국문학의 대표 시설로서, 전국 16개 시·도 소속 24개 시·군에서 유치를 신청한 상태다.
저작권자 © 장강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