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고 - 관대함은 어디에서 오는가
상태바
독자기고 - 관대함은 어디에서 오는가
  • 장강뉴스
  • 승인 2022.10.17 1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혁기(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송혁기
송혁기

작은 일 하나에도 깐깐하게 옳고 그름을 따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고충을 이해하고 너그럽게 베풀어 주는 사람도 있다.

개인적인 관계에서는 후자가 당연히 인기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크고 작은 조직을 이끄는 리더가 공적인 인간관계를 모두 관대함으로 일관할 수는 없는 일이다.

정해진 법과 원칙에 따라 상벌을 엄격하게 시행함으로써 공정하고 질서 있는 사회를 만들 것인지,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모범을 보이고 교화시킴으로써 법보다 도덕이 앞서는 사회를 만들 것인지는 동아시아에서 법가와 유가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여겨왔다.

자산(子産)이라는 자로 알려진 공손(公孫) 국교(國僑)는 춘추시대 강대국 사이에 낀 정(鄭)나라에서 26년 동안 재상을 지내며 안정된 정치를 편 인물이다.

그가 재상에 오른 지 1년 만에 소인배들이 경박한 짓을 저지르지 못했고, 반백의 노인들은 무거운 짐을 나르지 않고 어린아이들이 밭일을 하지 않아도 되었다. 2년이 지나자 시장의 매매가 공평하게 이루어졌으며, 3년째부터 길에 떨어진 물건을 아무도 주워가지 않고 문단속을 할 필요도 없어졌다. 법과 그에 따른 상벌을 제정하고 공표해서 그 시행을 엄격하게 관리한 결과였다.

비방을 칭송으로 바꾼 정자산

자산이 처음부터 인정받은 것은 아니었다. ‘시방종송(始謗終誦)’ 즉 처음에는 비방하더니 결국에는 칭송하더라는 말이 그에게서 유래했다. 초기에 사람들은 “우리의 의관을 가져다 쌓아두고 우리의 전답을 가져다 세금 물리네. 누가 자산을 죽일꼬? 내가 그를 도우리라.”고 노래했다. 그러나 그가 죽음에 이르자, 청장년은 실성하여 통곡하고 노인들은 어린아이처럼 흐느끼며 노래했다. “우리의 자제들을 자산이 가르치셨고 우리에게 있는 전답, 자산이 늘려주셨네. 자산이 돌아가시면 누가 그 뒤를 이을 수 있을까?”

“불은 사나워서 사람들이 무서워하기 때문에 불로 인해 죽는 이가 많지 않네. 반면에 물은 부드러워서 사람들이 함부로 대하기 때문에 빠져 죽는 이가 많다네. 관대함으로 다스리기가 어려운 것은 이 때문이지.” 자산이 후계자 태숙에게 한 말이다.

하지만 태숙은 차마 백성들을 엄혹하게 다스릴 수 없어 관대한 정치를 펼쳤다. 그 결과 정나라에 다시 도적이 들끓어 백성들의 삶이 위협받게 되자, 그제야 자산의 말을 떠올린 태숙은 후회하며 군사를 일으켜 도적을 몰살시킴으로써 사태를 수습할 수밖에 없었다.

흥미로운 것은 자산에 대한 공자(孔子)의 평가다. “훌륭하구나! 다스림이 관대하면 백성이 태만해지니 태만해지면 가혹하게 바로잡았고, 다스림이 가혹하면 백성이 나약해지니 나약해지면 관대함을 베풀었다.

관대함으로 가혹함을 조절하고 가혹함으로 관대함을 조절하였으니, 다스림이 이로써 조화를 이루었다.” 인(仁)의 정치를 누구보다 강조한 공자였지만 관대함과 가혹함, 인자함과 엄격함을 적절하게 구사한 자산의 정치를 높게 인정한 것이다.

지속가능한 사랑과 관대함을 위해

정치의 기술을 넘어서, 공자는 자산이 옛사람의 유풍을 이어받아서 백성을 진정으로 사랑한 사람이었다고 논평했다.

너무 가혹하게 느껴질 정도로 법과 제도를 엄격하게 적용했지만, 그 가혹함의 목적이 실은 관대한 사랑을 이루고 오래도록 지속시키는 데에 있었음을 간파한 것이다.

공자 뿐 아니라 당대의 백성들 역시 그 사랑을 깨닫고 칭송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자신들의 삶이 나아지는 실질적인 성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자산은 당대에 가장 박학다식한 인물로 꼽혔을 뿐 아니라, 계획 세우고 성과 점검하기를 농사짓듯이 아침저녁으로 쉬지 않고 지속하는 것이 정치라고 여겼고, 그대로 실천했다.

선한 의지와 너그러운 사랑만으로 복잡다단한 조직을 이끌 수 없다는 점은 2천 5백여 년 전 춘추시대에 이미 충분히 논의되었다.

서슬 퍼런 형벌의 집행이 그 모든 문제들을 해결해 줄 수 없다는 점 역시 역사가 입증해 왔다. 실무지식의 탄탄한 기반 위에서 계획과 성과에 대한 점검을 멈추지 않는 것, 이를 위해 법과 제도를 시대에 맞게 정비하고 엄정하게 적용하는 것이야말로 궁극적으로는 관대함이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길이다. 이 오래되고 평범한 진리에 오늘을 비추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