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칼럼 - 2025년 을사(乙巳) 푸른 뱀(靑巳)의 해
상태바
장강칼럼 - 2025년 을사(乙巳) 푸른 뱀(靑巳)의 해
  • 장강뉴스
  • 승인 2024.12.30 1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일중 논설위원
최일중
최일중

 

2025년 을사년을 한국의 간지(干支) 체계에서 을(乙)과 사(巳)가 조합된 해로 을목(乙木)과 뱀의 해를 의미한다. 을사년은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에서 다섯 번째인 을과 여섯 번째인 사를 조합한 것으로 60년 주기로 반복된다. 그리고 을사년은 푸른뱀의 해로 불린다.

을(乙)은 간지 중 목(나무)에 해당하며 특히 새싹이 땅에서 막 뻗어 나오는 상태를 상징한다. 이는 생명의 시작과 성장을 의미하며 유연하고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을목은 발전과 새로움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새로운 계획을 시작하거나 성장을 도모하기에 시기를 나타낸다.

사(巳)는 십이지 중 뱀에 해당하며 뱀은 지혜롭고 신중한 동물로 여겨진다. 뱀의 해는 변화와 적응을 잘하고 위기 상황에서도 슬기롭게 대처하는 힘을 상징한다. 또한 뱀은 재생과 변화를 상징하기도 하여 새롭게 탈바꿈하거나 자신의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을사년은 유연함과 성장을 상징하는 을목과 지혜와 신중함을 상징하는 사(뱀)의 특성을 함께 지닌다. 따라서 2025년 을사년은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성장을 도모하는데 좋은 시기이며,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하고 지혜롭게 상황을 헤쳐나가는 해가 될 수 있다. 또한 뱀의 해는 사람들에게 신중함과 통찰력을 요구하는 시기이기도 하여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신중한 자세와 계획이 필요하다. 뱀은 탈피를 통해 성장과 재생을 반복하는 동물이다. 이를 바탕으로 을사년은 자신을 새롭게 갱신하고 도전과 변화를 통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해로 해석할 수 있다.

을목의 특성인 성장은 새로운 기회를 잡거나 이미 시작한 일을 확장하는데 유리한 시기를 나타내며 지속적인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한다. 재생의 변화, 뱀은 허물을 벗고 새롭게 태어나는 과정을 통해 변화의 형식을 상징한다. 2025년은 새로운 시작과 변화를 맞이하는 한 해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혜와 통찰력, 뱀은 좁은 공간도 지혜롭게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유연하고,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2025년에는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번영과 풍요, 뱀은 재물과 풍요를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올 한 해는 재물운이 따르고 풍요로운 한 해가 될 수 있도록 의미한다.

푸른색은 희망, 평화, 그리고 무한한 가능성을 상징한다. 푸른 뱀의 해는 변화와 성장을 향한 희망찬 미래를 예고하는 듯하다.

갑진년이 가고 을사년이 왔다. 해가 가고 달이 가고 날이 가고 시간이 간다. 시작의 결과는 끝이다. 말은 그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소리이지만 말속에는 그 사람의 생각과 마음이 담긴 빙산의 일각이다. 평소에 어떤 생각으로 살고 있는가의 빙산의 일각에서 나온 감정의 일각의 표현이다. 따라서 그 사람의 마음은 그 사람의 말을 통해 알 수 있다. 말에는 두 가지 의미로 분류되는 데 선과 악이 있듯이 긍정적인 말과 부정적인 말이 있다. 잠시 잠깐 그 시간만 변명으로 넘어가면 된다는 거짓말로 감언한다. 자기 말을 포장하여 상대방을 넘어뜨려 자기말로

진정성을 말한다. 다만 바로 몇 분 후에 그 진실과 거짓말의 실체가 들어난다. 왜 좋은 관계를 거짓말로 실추시키는가. 말은 그 사람의 마귀가 하는 말이다. 말 한마디가 싸움의 불씨가 되고 잔인한 말 한마디가 삶을 파괴한다. 쓰디쓴 말 한마디가 증오의 씨를 뿌리고 무례한 말 한마디가 사랑의 불을 끈다. 은혜로운 말 한마디가 길을 평탄하게 하고 즐거운 말 한마디가 하루를 빛나게 한다. 때에 따라 말 한마디가 긴장을 풀어주고 사랑의 말 한마디가 축복을 준다. 말은 마음의 표현이라고 했듯이 우리가 좋은 말을 하기 위해선 우리 마음이 밝아야 하고, 우리 마음이 기뻐야 하며 우리 마음이 애정과 사랑이 가득 차 있어야 한다.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다툼이 있는 곳에 용서를, 슬픔이 있는 곳에 위로를 그리고 용기 잃고 쓰러진 자에게 희망의 말을 전하여 사람들에게 기쁨과 사랑을 주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