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윤(閏)달 만의 행복(幸福)
상태바
〔칼럼〕윤(閏)달 만의 행복(幸福)
  • 장강뉴스
  • 승인 2023.03.20 11: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일중 논설위원
최일중
최일중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 1개월 더 보태진 달을 뜻한다. 계묘년 금년의 윤달은 양력 3월 22일~4월 19일(윤2.1~29)까지 윤달이다.

윤달은 태음력 상 역일(曆日)과 계절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끼워 넣은 달이다. 태음력에서의 1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이를 1년 12달로 환산하면 도합 354일 된다. 365일을 기준으로 하는 태양력과 11일이 차이가 난다.

이렇듯 달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력(太陰曆)으로는 태양력과 날짜를 맞추기도 어렵거니와 계절의 추이를 정확하게 알 수도 없다. 따라서 윤달은 이러한 날짜와 계절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만든 치윤법(置閏法)에서 나온 개념이다.

윤달의 계산은 통상 19태양년에 7번의 윤달을 두는 19년 7윤법이 가장 많이 쓰이는데 이 계산법에 의하면 19태양년은 태음력 235개월이 된다. 태양력만 3년이 채못되어 윤달이 한 번씩 돌아오는 형태다. 윤달이 드는 빈도는 5월이 가장 많고 11월, 12월, 1월은 거의 없다.

1년 12개월 외에 몇 년 만에 한 번씩 들기 때문에 윤달을 여벌달 공달 또는 덤달이라고도 부른다. 그래서 보통달과는 달리 걸릴 것이 없는 달이고 탈도 없는 달이라고 한다. 속담에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도 탈이 없다고 할 만큼 탈이 없는 달로 되어 있다.

윤달이 아니면 집안에 못을 하나 박아도 방위를 보아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집수리나 이사도 윤달에 하면 가릴 것이 전혀 없다고 한다. 이사나 집수리는 보통달에도 길일을 택하면 되지만 수의(壽衣)는 꼭 윤달에 하게 되어 있어서 나이 많은 노인이 있는 집에서는 윤달에 수의를 만들었다.

산소를 손질하거나 이장하는 일도 흔히 윤달에 한다. 결혼도 평생의 대사이기 때문에 조심스러운데 윤달에 하면 좋다고 한다.

이러한 윤달의 관습 역사는 확실하지 않으나『동국세시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풍속에 결혼하기에 좋고 수의를 만드는데 좋다. 모든 일을 꺼리지 않는다. 광주(廣州) 봉은사(奉恩寺에서는 매양 윤달을 만나면 서울 장안의 여인들이 다투어서 불공을 드리며 돈을 자리(榻) 위에 놓는다. 그리하여 윤달이 다 가도록 끊이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극락세계를 간다고 하여 사방의 노인들이 분주히 달려오고 다투어 모인다. 서울과 외도(外道)의 여러 절에서도 대개 이러한 풍속이 있다.

그래서 지금도 영남지방에서는 윤달에 불공을 드리는 일이 많다고 하며 경기도에서는 윤달에 세 번 절에 가면 모든 액이 소멸된다고 복이 온다고 하여 부녀자들이 이름 있는 절들을 찾는다고 한다.

제주도에서는 윤달에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를 올리는 풍속이 있다. 생전예수재란 생전의 죄를 모두 사해 받고 극락왕생하기를 생전에 비는 여유 있는 사람들의 불공을 말한다.

또 제주도에는 윤달에 사망한 사람을 위하여 그 제사를 윤달에도 지내고 그 윤달 수의 원달(原月)에도 하기 때문에 한 해 두 번 제사를 지내는 일도 있다. 윤달 생일을 가진 사람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또 11월에는 윤달이 거의 안 들기 때문에 하기 싫은 일 예컨대 빚 갚는 일을 윤 동지달 초하루 나 하겠다라는 식으로 말한다. 고창 모양산성에서는 윤달에 모양산성의 성 밟기를 하는데 이는 극락세계에 갈 수 있다고 하여 행하여지는 것으로 많은 부녀자들이 머리 위에 작을 돌을 위고 읍성 위 둘레를 도는 관습이다.

그런데 불교의 윤달의례에는 죽음 말고도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도 여럿 있다. 대표적인 것이 유서깊은 전통사찰 세곳을 참배하는 삼사순례다. 이는 성지의 좋은 기운을 받아 길함으로 윤달을 가득 채워 삶을 복되게 하려는 실천행위이다.

또 스님들이 착용하는 의식복인 가사(袈裟)를 만드는 가사불사도 있다. 가사는 예전에는 복전의(福田衣)라고 했었다. 즉 많은 공덕이 산출되는 복의 잭팟이라는 의미다.

때문에, 윤달에 가사를 지어 올리면 많은 공덕이 만드러져 삶이 풍요로워진다고 인식되었다. 태양력을 쓰는 오늘날 윤달을 기리는 분은 많지 않다. 그러나 삿됨을 여의고 즐거움으로 나아가려는 정신만큼은 태음력과 태양력을 관통하는 인간 삶의 본질이 아닐까.

자칫 남을 탓하기 쉬운 현대에 윤달의 정신은 나와 이웃 모두가 복되고 풍요롭자는 행복의 외침이자 실천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때문에, 윤달 풍속은 과거만이 아닌 오늘에도 유효한 가치이다. 인간의 행복추구와 함께 윤달은 그렇게 미래로 흘러갈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