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초대석 - 한국화 중진화백 우당 김용진
상태바
작가 초대석 - 한국화 중진화백 우당 김용진
  • 임순종 기자
  • 승인 2016.01.04 1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렬한 붓 터치…오묘한 색채감 낭만적”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 한국화-병신년을 향한 참게(새 희망을 향해 힘차게 전지하는 참게를 보며 소원하는 모든 일들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합니다)
서화에 능한 김 화백은 근대한국 한국화의 거봉인 이당 김은호(1892~1979)화백의 문화사사 일가를 이룬 한국화 기명절지화를 잘 그리기로 유명한 현당 김한영(1913~1988)선생에게 사사를 받았으며, 구체신용(舊體新用)사상에 따라 고법(古法)에 충실하면서도 현대적 조형미를 갖춘 서예세계를 구축한 강암 송성용(1913∼1999)선생의 문하에서 서화에 본정에 오른 한국화 중진화백 우당 김용진 화백을 초대했다.
김 화백은 모친의 일가인 서법과 그림에 일가를 이룬 전북 김제 출신인 유재 송기면 선생 등 13분의 국보급 서예가를 배출한 모친 일가의 재능을 이어받아 태어났다.
현당 김한영 선생이 88년 작고하실 때 까지 그림을 배우고 강암 송성용 선생에게 10년간 서예와 그림을 사사받았으며 제주미대학장을 역임한 우하 문기선 선생에게 현재까지 사사를 받고 있다.
뛰어난 서예실력을 겸비한 김 화백은 한국화, 문인화 중진화백으로써 붓선이 남달리 대담하고 선이 굵으며 색채가 강하고 현대적 감각으로 사군자, 십군자, 기명절지화 등 書와 畵가 잘 어울리는 한 폭의 작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김 화백의 화풍은 짙은 먹을 풍부히 사용해 사군자를 비롯 동양적 정물의 선을 자유분방한 터치로 굵고 예리하게 표현 해내는 필력을 지녀 정적 구도 속에서도 강인한 필력과 문기 어린 특유의 선비 혼이 드러나는 구도적인 아름다움을 지녔다. 김 화백은 자연의 끊임없는 변화과정을 화가의 흐르는 영감으로 그려낸다.
과감하며 때론 섬세한 성격이 화풍에 그대로 나타나는 김 화백은 작품을 위해서는 고집스러운 집착을 보이지만 지인들과 만날때는 항상 배려하고 남의 말을 잘 듣는 인간미가 넘치는는 화가다. 혼자만의 시간을 즐기기 보다 사람들을 만나 자연스럽게 인생을 배운다는 그는 여행을 다니며 사람들을 만나 세상사는 얘기를 할 때 가장 행복하다고 한다.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열정적인 그의 행보에 세계를 향한 한국미술의 밝은 앞날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요즘은 화려하고 색채가 강한 유화를 이용한 서양화가로써 자기만의 세계의 화풍을 구축하고 있는 중진작가로써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김 화백의 화실에는 고결한 품격과 그윽하고 은은한 다향과 묵향이 방안에 감돌고 있다. 장대비가 쏟아지는 소리를 들으며 자기만의 작품세계를 만들기 위해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 한국화-감 먹는 참새(을미년 묵은 때를 벗고 결실을 맺는 병신년이 되어 만복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 우당 김용진 화백
우당 김용진 화백

경력 : 대상수상 /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수상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역임

화실 062)372-6677 / 010-3607-511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