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칼럼 - 아시타비(我是他非)
최일중 논설위원
아시타비(我是他非)는 ‘나는 옳고 타인은 틀리다’는 뜻이다. 이 표현은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을 문제 삼지 않으면서 비슷한 상황에서 타인을 비난하거나 문제 삼는 경우에 사용된다.
같은 일을 하거나 같은 상황에서 처해 있는 사람들 중 자신만은 정당화하고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의견을 문제로 삼을 때 이를 아시타비라고 표현한다.
이런 경우 그룹 내에서 불평등과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팀의 협력이나 통합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아시타비의 문제는 자신이 옳다고 믿는 한계 내에서만 생각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다양한 의견이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생기는 불평등과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팀의 협력이나 통합이 어지러워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불평등과 갈등은 그룹 내에서 협력을 어렵게 하고 장기적으로는 관계의 파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아시타비는 우리가 주의해야 할 태도이며 이를 인식하고 고치는 것이, 더 건강하고 협력적인 인간관계를 만드는 첫걸음이다.
이 표현은 인간관계와 팀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지적하며 상호 존중과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시타비는 한자의 풀이로 我(아), 나,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 是(시), 옳다, 맞다를 의미한다. 他(타), 다른 사람, 타인을 의미한다. 非(비), 틀리다, 잘못이다를 의미한다.
이러한 한자의 조합으로 나는 옳고, 타인은 틀렸다는 뜻을 형성한다. 이는 상황에 따라 자신은 합리화 하면서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태도를 강조하는 조어이다.
회사에서 민혁은 항상 그의 업무 실수를 남의 탓으로 돌리며 아시타비의 태도를 보인다. 철수와 영희는 같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만, 철수는 자신의 아이디어만 최고라고 주장하며 영희를 비난한다.
이는 아시타비의 좋은 예이다. 자신은 지각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면서 다른 사람이 조금 늦으면 바로 지적하는 아시타비 태도가 동료들 사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소통의 부재로 인해 팀 내에서 아시타비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로 인해 팀워크가 저하 되고 있다.
팀 프로젝트에서 나는 내 부분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하며 다른 팀원의 문제점만 지적하는 아시타비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아시타비 태도로 인해 같은 문제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 이로 인해 공동의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고 있다. 나는 항상 정시에 퇴근하지만, 동료가 야근을 하면 그 사람이 업무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아시타비 태도가 있다.
모임에서 음식을 주문할 때 나는 내가 좋아하는 음식만 고려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무시하는 아시타비 태도를 보이고 있다.
내 아이디어가 반려되면 회사의 문제라고 생각하며,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가 반려되면 그 사람의 능력 문제라고 생각하는 아시타비 상황이다. 아시타비 태도로 인해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하다 보니 팀 전체의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는 고객 서비스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료는 상품 품질에만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내 가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고 동료만 비난한다.
이것은 아시타비의 전형적인 예이다. 나는 노래방에서 노래를 잘 부르기 때문에 무조건 내가 불러야 한다고 생각하며, 다른 사람이 노래를 부르면 비판하는 아시타비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아시타비 태도로 인해 내가 하는 일은 모두 정당화되고 다른 사람이 하는 일은 모두 문제가 있다고 판단, 이로 인해 팀 내 분위기가 악화되고 있다.
나는 팀 회의에서만 의견을 제시하고, 다른 팀원이 의견을 제시할 때는 무시하거나 비판하는 아시타비의 태도를 보인다. 내가 선택한 프로젝트 도구는 최고라고 생각하며 다른 사람이 제안하는 도구는 모두 부족하다고 지적하는 아시타비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아시타비는 나는 옳고 타인은 틀렸다는 뜻으로 같은 상황에서 자신은 문제 삼지 않고 타인만 비방하는 상황을 이루는 조어다. 이 용어는 개인이나 단체가 자신들의 행동이나 의견을 옳다고 단정하고 타인의 행동이나 의견을 규탄할 때 쓰인다.
아시타비의 문제는 주관적인 판단을 객관적인 사실처럼 다루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은 팀 작업, 가족 친구와의 관계에서도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태도는 효율적인 협업과 상호이해를 저해하고 대인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조어인 아시타비를 이해하면 현대 사회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