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바이오산단내 오리가공공장 악취 진동 논란 확산

전남도-장흥군, 책임 떠넘기기에 주민들 분통

2013-10-03     임순종 기자

오리가공 시스템설비 환경문제 놓고 ‘티격태격’
대책위, 악취측정기 환경감시 등 저감대책 요구

 
장흥군 바이오산단내에 입주한 한 오리가공공장에서 발생한 악취 문제가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전남도와 장흥군이 ‘책임 떠넘기기’를 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해당산단 주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전남도와 장흥군이 오리가공공장의 설비라인과 환경문제를 둘러싸고 ‘서로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어 “애꿎은 주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며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대책위는 지난 29일 현재 장흥 바이오산단내 오리가공장 입구에서 10여일째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대책위와 행정기관, 업체 등이 신경전을 벌이면서 감정싸움으로 치닫고 있는 실정이다.
전남도와 장흥군을 비롯해 주민대책위에 따르면 지난 25일 전남도와 장흥군청 직원들이 집회시위를 벌이고 있는 오리가공공장 현장을 방문했다.
전남도는 오리가공공장인 A업체의 최첨단 자동화시스템을 설비해 문제가 없어 허가를 했을 뿐, 냄새 등 환경문제의 책임은 장흥군에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장흥군은 오리가공공장 허가권을 가지고 있는 전남도가 책임이 있다는 주장이어서 양측이 ‘책임 떠넘기기’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대책위는 행정기관이 서로 책임이 없다고 주장만하고 있어 힘없는 주민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특히 대책위는 지난 16일 장흥군수와의 면담을 통해 악취자동측정기 설치와 환경감시 등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는 방안 및 계획서를 이달 30일까지 요구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이같은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오는 10월부터 오리가공공장 인근 8개 마을 주민들이 대대적인 집회계획을 세워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책위가 요구한 냄새저감 방안대책이 어떻게 도출되느냐에 따라 이번 ‘악취사태’는 이달 말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책위는 장흥군이 오리가공공장 조성시 예산 20억원을 지원한 것과 관련, 어디에 사용했는지 구체적인 집행내역을 공개할 것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 업체측 관계자는 “장흥군이 주민들과 면담한 공문내용을 받아본 후에 성심성의껏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