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오리가공공장 역겨운 악취 진동
대책위, 공동조사 등 5대 합의사항 이행 강력 촉구
2013-09-09 임순종 기자
주민들 “사체 썩는 듯한 냄새” 고통 호소…대책 시급
장흥군, 환경감시센터 운영은 논의…원인조사 계획
특히 해당산단 주민 대책위원회 운영위(이하 대책위)는 지난 5월 장흥군과 A업체가 악취문제 해결을 위한 합의사항을 현재까지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어 주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는 비난이다.
장흥군과 대책위에 따르면 장흥바이오산단내에 지난 5월 준공한 오리가공공장인 A업체는 부지면적 6만6000㎡(약 2만평) 규모로 하루 7만2000수의 도압과 3만6000수의 오리고기를 가공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공장이다.
장흥군은 A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무려 20억원의 예산을 지원했다.
이 업체는 오리의 도압에서 가공, 유통까지 자동화 시스템 라인을 갖췄고 공장 내부를 모두 스데인레스로 만들어 철저한 위생 시스템을 구축해 오리고기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제품을 생산, 공급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같이 A업체가 자동화된 위생 시스템을 구축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리가공공장에서 역겨운 냄새가 지속적으로 풍기고 있어 주민들이 대책위를 구성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오리가공공장 인근에는 금성마을 등 총 8개 마을 700여 가구의 주민들이 생활하고 있다.
대책위는 사체가 썩는 듯한 역겨운 악취의 원인은 오리공장의 폐수처리장으로 보고 이에 따른 시설 또는 시스템을 보강해 근본적인 원인을 차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책위는 결의사항을 통해 A업체가 악취가 나지 않도록 근본 대책 마련과 장흥군, A업체와 함께 공동 조사위원회 운영을 비롯해 장흥군과 업체는 24시간 환경담당 직원을 배치해 악취관련 민원이 요청되면 즉시 확인조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또 업체는 환경감시를 위해 공장출입의 자유 보장과 월 1회 정례적 회의를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이같이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집회 등 투쟁을 벌여 나간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대책위 관계자는 “바람이 마을쪽으로 불어 고약한 냄새가 나면 속이 역겨워 밥을 못 먹을 정도로 심하다”면서 “공장에서 냄새가 나지 않게 하든지, 이주를 시켜 주든지 해야지 이렇게 고통 받으면서 살기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대책위 관계자는 “공장에서 오폐수가 인근의 하천으로 흘러들어 옛날에 보이던 다슬기(데사리)와 피라미떼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며 “앞으로 갈수록 더 심하지 않을까 걱정이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대책위는 “오죽했으면 주민들이 오리공장에서 발생한 모든 환경감시체제를 구축해 감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장흥군 관계자는 “대책위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행정보조를 맞추기를 했다”며 “특히 공단지역내 환경오염감시센터 운영부분은 시간을 두고 업체와 충분한 논의를 통해 진행 하겠다”고 밝혔다.
또 군 관계자는 “악취가 지속적이지 않고 파생적으로 나다 보니 원인을 찾을 수 없어 중간 중간 모니터링을 통해 조사하고 있으며 악취가 심각하게 발생한다면 법대로 조치하겠다”며 “빠른 시일내에 업체측과 협의해 전문가를 초빙 원인조사를 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A업체는 지난 5월경에 전남도로부터 15일 영업정지 행정처분을 받았으나 대신 벌금 6천만원을 내고 영업을 계속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