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선거구 재획정 ‘안갯속’
강진․장흥․영암 주민등록 인구 563명 부족
내년 4월 총선거를 앞두고 있는 정치권의 최대 이슈는 선거구 재획정이다. 일단 지난해 헌법재판소가 국회의원 선거구 간 인구 편차를 3대1에서 2대1로 재조정을 권고함에 따라 전남에서 수정이 불가피한 지역구는 총 5곳이다. 여ㆍ야의 협상 난항으로 선거구 획정 논의에 대해 진척을 보이지 못해 어떻게 수정될지 안갯속이다. 여ㆍ야는 우선 현역 의원들이 최대한 손해보지 않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현역이나 신인 등 모두 선거구 변경에 대한 경우의 수를 가지고 유불리에 대한 전략을 마련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남 지역구에서 주민등록인구 기준 인구 하한선과 인구 상한선을 초과해 손질이 불가피한 곳은 5곳이다.
6월말 주민등록인구 기준 인구 하한(13만9380명)에 미달하는 선거구는 여수갑(12만3265명), 고흥ㆍ보성(11만4325명), 장흥ㆍ강진ㆍ영암(13만8817명), 무안ㆍ신안(12만5658명) 등 4곳이다.
반면 상한선(27만8760명)을 초과한 선거구는 순천ㆍ곡성(30만8130명) 등 1곳이다.
문제는 장흥ㆍ강진ㆍ영암과 고흥ㆍ보성 선거구다. 이 지역구들은 연쇄 이동이 불가피하다.
장흥ㆍ강진ㆍ영암의 경우 6월 기준 인구 하한선에 불과 563명이 모자랐다. 더욱이 7월에 주민등록상 인구수가 171명이 더 줄었다. 인구산정 기준일로 예정된 오는 31일까지 734명의 인구를 늘려야 하는데 쉬워 보이진 않는 모양새다.
고흥ㆍ보성의 경우 인접한 화순과 묶일 경우, 나주시가 또 다른 지자체와 선거구를 형성해야 한다. 장흥과 묶일 경우, 타 지자체에서 인구를 떼어와야 할 강진ㆍ영암과 맞물려 지역구의 연쇄 이동이 예측되고 있다.
전남지역 정치관계자는 “선거제도와 관련해서 어느 하나도 확정되지 않아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며 “농촌지역의 현실을 충분히 고려하는 등 인구수 논리를 떠나 지역 대표성도 감안한 선거구 획정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