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칼럼 - 최일중 성균관전인
상태바
장강칼럼 - 최일중 성균관전인
  • 장강뉴스 기자
  • 승인 2016.06.02 2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조상(祖上)은 충효(忠孝)로 나라를 지켰다

효(孝)는 바로 부모자식 사이 사이를 지키는 사상이고 힘이다.
오늘날 핵가족화되는 현상에서는 그런 힘이 줄어들고 있다. 더러는 부모자식 사이가 남남처럼 균열을 보인다.
효의 사상이 강한 민족이었다는 말도 먼 전설로 되어가는 세상이다.
충(忠) 역시 그러하다 전설처럼 되어가고 있다. 국방개혁이다 뭐다 하고 병역의무제도를 폐지하려 했다.
작은 동방의 나라가 어떻게 그토록 긴 국가 유지를 할 수가 있었는지 세계 석학들은 놀랬다.
거기에는 충이란 힘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충이라는 말을 하면 옛 군주국가에나 있는 것처럼 또 군사정권 때나 있는 것처럼 거부감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충과 효는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사상이었다.
이 세상에서 온갖 국난이 있었어도 극복하고 국가유치를 해왔다.
고려사의 열전편에 김지대(金之岱)에 관한 설명이 있다. 여기에 충효쌍수라는 시 한수가 나온다.충효쌍수 충(忠)과 효(孝)를 함께 닦는다는 뜻으로 연마 수련과 같은 말이 된다.
이 시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국충신지환친우자소우(國忠臣之患親憂子所憂) 대친여보국충효가쌍수(代親如報國忠孝可雙修)
번역하면 ‘나라의 근심은 신하의 근심이요. 아버지의 걱정은 자식의 걱정이요. 어버이를 대신하여 나라에 보답하면 충성과 효도를 함께하는 것이니라’ 이 시는 충효사상을 짧은 시한수로 잘 표현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충효사상을 강조하는 학자들과 위정자들 사이에는 인구의 회자(膾炙)가 되었던 시다.
충효는 일찍이 신라의 기본사상이었다. 나아가서 국가를 지키는데 정신적 방패로 삼아왔다.
신라가 1천년 가까운 오랜 세월에서 국가를 유지해온 것은 세계사에서 유일무이한 나라였는데 그 힘이 바로 백성들 전체가 이 사상에다 국가관과 가치관을 둔 이유라고 말한다.
신라인은 확실히 남다른 국방의 의지가 강했다. 그것은 어는 나라보다 건전한 국가관을 청소년에게 심어주는 화랑정신에서 나타난 것이기도 했다.
화랑정신은 일찍이 중국 진(陳)나라에 유학하고 수(隋)나라와 오(吳)나라를 견문한 후 신라로 돌아온 원광법사가 백성들을 계도한다는 취지에서 만든 세속오계를 바탕으로 한 정신이다.
세속은 세상 또는 속세를 일컫는 말로 그러니까 세인들이 지켜야 할 계율 다섯가지가 세속오계라는 말로 표현된 것이다.
오계는 ①군왕(나라)에 충성한다는 사군이충(事君以忠) ②어버이에게 효도한다는 사친이효(事親以孝) ③친국사이에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교우이신(交友以信 ) ④전쟁에 임했을 때 후퇴하지 않는다는 임전무퇴(臨戰無退) ⑤살생은 가려서 한다는 살생유택(殺生有擇)이 다섯가지다.
오계에서 보면 첫째 둘째로 둔 것이 충과 효다. 충과효는 화랑도에게는 중요한 사상으로 삼았던 것이 사실이다. 화랑도의 충효사상이 신라이후 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이어졌고 어느 문중 어느 가문의 사대부가 에서도 건전한 국가관을 갖게 하는 좌우명이 되었다.
삼국시대 제일 작은 나라 신라가 백제 고구려를 이겨내고 삼국을 통일 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세속오계를 지키는 화랑도의 정신에서 비롯된 것을 어느 학자도 부인하지 않는다.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한다’는 말은 신라인에게는 실로 생활의 좌우명이었다.
신라에는 지금도 인구의 회자가 되는 손순(遜順) 같은 유명한 효자도 많았다. 고려시대에 와서도 서능(徐稜) 김천(金遷) 황수(黃守) 등 효행으로 소문난 인물이 많았다.
우리 민족의 역사책에서는 서양의 어는 역사책에서도 보기 어려운 효행을 한 사람들의 기록이 특별히 있다.
정치적으로 유명해진 인물만 역사서의 한 페이지를 장식해 두는 것이 서양의 주된 역사서들이다. 이웃 중국 일본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 효의 사상은 일찍이 공자시대부터 등장했다. 공자는 기원전 5세기 사람이다. 신라나 고구려가 건국하기 이전 4백년 전에 살았던 위인이다.
그로부터 수백년이 지나서 기원후 6세기경 원광법사를 시작으로 하여 충효의 사상이 계속 역대 왕조에 면면히 이어왔다.
물론 공자의 충과 효를 본받았던 것이다.
忠의 글자 개념은 원래 중심(中心)이란 데서 나타났던 것이다. 중심이 된다는 것은 기본이며 주요 사안이란 뜻을 갖는다.
우리 인간 생활의 중심이 된다는 것은 먹는 것, 입는 것, 자는 것 즉 식(食) 의(衣) 주(住)이다.
이런 논리처럼 나라를 지킨다는 국방의 중심은 충(忠)인 것이다.
국민들 사이에서 충이 강렬하면 국방은 더욱 튼튼해지기 마련이고 그들에 의해서 어떠한 나라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지혜와 용기가 나타난다.
고려 후기의 국난을 보고 조선 중기의 임진왜란 같은 화난을 보면 충의 힘이 어떠 하다는 것을 가히 깨닫게 된다.
정녕 우리 선대의 조상들은 비록 손에 쥔 무기가 허약 하였어도 충과 효의 정신으로 나라를 지켰다.
김지대는 시 한수로 충효쌍수의 국가관을 제시했다. 그는 어떤 인물이었나 하는 것은 사후 나라에 내려 준 시호가 잘 말해준다. 시호는 받는 사람의 생존시 행적을 갖고 그 공덕을 칭송하는 의미를 부여하는 호인데 그에게는 영헌공이라 하는 시호가 내려졌다.
그의 시호에서 보게 되는 말은 ‘그가 스스로 바른 덕을 보여 백성들간에 화목함이 있게 했다. 그가 스스로 선행을 보여 백성들간에 기강이 서게 하였다’는 뜻이다.
이 말의 원어는 ‘덕정응화 왈영 행선가기왈헌(德正應和 曰英 行善可紀曰憲)’이다.
그는 오늘날 장관급에 해당하는 재상의 반열에 있었다. 퇴임후는 노쇠한 몸이나마 산천을 찾아 유랑하며 심신을 닦고 사찰을 찾아 내세를 기원하며 여생을 보냈다.
숨을 거들 때 수양된 고승만이 가능하다는 좌서를 하였다.
좌서는 꼿꼿이 앉은채 눈을 감고 숨을 거두는 것을 말한다. 그는 뛰어난 유학자 이기도 했다. 조선시대 성리학자이며 예학의 태두였던 사계 김장생이 자신의 문집에서 그를 평한데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당시 주자(朱子)의 학문이 우리나라에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리가 주자의 것과 대동소이했다. 그러니까 김지대에게는 유학자로서 선비정신도 있었던 것이다. 우리 조상의 선비정신은 바로 충효에 비중을 두었다. 김지대는 선비정신에서 나라의 어려움을 걱정하는 마음이 남달랐다고 할 것이다. 즉 충효로 나라를 지켰던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