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칼럼 - 제77주년 광복절(光復節)을 맞으며
상태바
장강칼럼 - 제77주년 광복절(光復節)을 맞으며
  • 장강뉴스
  • 승인 2022.08.29 14: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일중 논설위원

올해로 일제강점기에서 해방이 된지 77주년이 되었다. 누구나 해방을 생각하면 여러 가지 의미와 생각이 있겠지만 식민국 속박에서 자주 국가로 되었다는 것이겠지요.

최일중
최일중

그리고 해방이 있기까지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재산을 내놓아야 하였다. 그런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이 덕으로 우리 모두는 해방의 기쁨과 새 희망의 출발점이자 우리 역사에 잊혀지지 않는 날이 되었다.

해방을 위해 희생하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이날 우리는 전 국민이 집집마다 국기를 게양하고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야 할 것이다.

광복절은 국경일로 공유힝리지만 올해는 월요일이 됐다. 광복절엔 자라나는 자녀와 학생들에게 일제 만행을 알려주고 국가관을 심어주는 국가관 교육의 날로 뜻깊게 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를 각 가정에 갖추고 게양하면서 자랑스런운 태극기에 대해 교육을 해야 한다.

전국 지자체에서는 국기 보유현황을 사전에 조사해 국기가 없는 가정에 보급하고 전국부녀회에서는 국기게양을 홍보해야 한다.

국기게양 교육은 국경일을 앞두고 특별한 관심을 두고 교육하는 가정과 학교 지자체 교육기관에서 의도적으로 해야 한다.

미국은 다민족국가이면서도 독립기념일이 7월 4일 자율적으로 국기게양을 잘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국경일에 국기를 게양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실행하지 않는 가정이 많다.

우리나라가 품격 높은 민주주의 선진국이 되려면 역사교육을 해야 하며 국기에 대한 의식교육이 앞서야 한다. 국제화 시대에 우리나라를 표시하는 것이 국기인 태극기다.

국제경기가 있을 때마다 수많은 응원단이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민국을 외치며 응원 하지 않은가.

이러한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를 국경일에 게양하지 않는 것은 국민 수준이 낮은 것이 아니라 홍보교육이 제대로 안 됐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건국 74주년을 맞이하지만, 아직도 통일을 못하고 남북이 분단돼 이산의 아픔을 안고 있다.

성숙한 민주정치가 되지 못하고 있는데 지역 간 갈등 노사 간 갈등을 하루빨리 없애고 화합과 협력을 이뤄 성숙한 민주국가를 만들어야 한다.

남북분단의 원흉이고 침략자인 일본은 아직도 야욕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우리 기업들은 일본의 선진기술에 매달려 경제식민화 되는 것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하고 2차 세계대전이 끝나는 날이면서 우리나라는 독립을 하게 된 날이다.

광복절은 국권을 되찾는 날이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기념하는 날이다.

1949년 10월 1일 제정된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따라 8월 15일 광복절로 정하고 국경일로 지정됐다.

광복절을 맞아 우리는 과거사를 경험할 수 있는 체험장으로 자녀와 학생들을 안내해야 할 것이며 그들이 과거사를 탐색해보게 해야 한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략해 어떠한 만행을 저질렀기를 직접 볼 수 있는 곳은 독립기념관이다.

광복절을 전후해 한번 쯤 찾아보는 것도 자녀교육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국가관 교육은 어려서부터 해야 한다.

이스라엘 민족이 2000년을 국가 없이 떠돌이 하면서도 국가와 민족의식을 지켜온 것은 가정에서 국가관 교육이었다.

독립기념관에 들어서면 첫눈에 들어오는 것은 태극기다. 독립투사들에게 태극기는 바로 대한민국이었다.

기념관에 전시된 독립투사들이 간직했던 피 묻은 태극기는 보는 사람들을 숙연케 하고 있다.

국기는 나라의 상징이며 국기 없는 나라는 없고 나라 없는 국기도 없다. 국기에 대한 맹세는 국민이 주권을 가지고 세운 대한민국을 위해 내가 할 일을 다짐하는 것이다.

일본은 과거사 반성은커녕 한국침략의 정당성을 교과서에 왜곡해 지도하고 있고,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우기고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토록 하고 있다.

변할 줄 모르는 일본의 침략야욕과 악랄한 만행을 규탄해야 하며 현시점에서 남북통일을 다짐하면서 광복절 국기게양을 통해 국가관 교육을 철저히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