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칼럼 -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마음
상태바
장강칼럼 -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마음
  • 장강뉴스
  • 승인 2020.04.20 10: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일중(성균관 전의)

코로나19 감염증으로 사회가 어수선하다.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불가능해지면서 기업들의 위기설이 언론에서 연이어 보도되고 수많은 자영업자가 무너지고 있다.

최일중
최일중

학교는 온라인 개학을 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 운동으로 활동반경이 줄었다.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집에만 있어 자연스럽게 스트레스가 쌓여만 간다.

이럴때일수록 상대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역지사지가 필요하다. 역지사지(易地思之)란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한다’는 뜻이다.  불환인지 불기환불 여지인야(不患人之 不己知患不 如知人也) ‘남이 나몰라 주는 것이 아니라 남을 모르는 것이 걱정이다’ 는 뜻이다.

봄날의 하늘을 바라보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그토록 청정한 하늘이었는데 지금 바라보는 하늘은 옛 모습을 찾을 수 없다.

시간이 흐르면 모든 것이 변한다고들 하지만 인간과 자연의 본향은 변함이 없어야 한다. 그런데 신이 노여워할 정도로 자연을 훼손시킨 인간들의 행동에 저주를 내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두려움마저 든다.

미세먼지의 극한 상황은 인간을 병들게 만들어 심신이 괴롭다. 가난한 자나 가진 자나 권력의 유무를 떠나서 모두에게 공평한 자연의 섭리는 신이 주신 최고의 선물이다.

신의 선물을 받은 사람들 중에 가장 고마움을 느끼는 부류는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일 것이다.

힘들고 외로울 때 하늘을 바라보며 마음을 다스리는 사람들, 소원을 말하며 잠시 자신을 의탁하며 바라보는 하늘에 고마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대부분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있는 자들의 허세와 탐욕은 하늘을 바라볼 수 없다. 그들만의 하늘을 바라보는 것은 시간 낭비일 뿐일 것이다. 하늘을 바라보는 것은 바로 나를 보는 것이다.

마음으로 하늘을 바라보고 하늘을 향한 외침은 나의 절절한 외침이요 하늘을 향해 드리는 기도는 나의 절실한 소망이기 때문이다. 현시대는 사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삶은 무엇인가? 진정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

우리 사회는 병들어 썩어 가고 있다. 경제 강국이 되어 살만한 나라를 만들어 내고 삶 또한 풍부해진 우리의 생활에서 지금 우리가 겪는 공허감은 인간의 정신을 썩게 하여 사회는 괴로움 속에서 방황하고 있다.

올바른 삶의 쟁취는 풍부한 물질이 보장되고 정신적인 편안함을 만들어 내는데 기인하게 된다. 그중에 중요한 정신적 안정이라는 것은 부족한 물질적인 환경속에서 생을 유지하더라도 정신적인 안정이 이루어진다.

나만의 독선으로 나만이 잘 살고 잘되어야 한다는 편견은 사회의 악이 되고 사회를 별들게 만들어 버린다.

이 세상 살아가면서 느낀 것은 무도가 현명하고 자존심도 강하고 내가 없으면 안되고 자기의 생각만이 옳다는 잘못된 사고로 점철되어 버린다는 것이다. 그것이 현시대를 살아가는 필수요건이다.

생각하는 불쌍한 사람들이 점점 많아져 가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리고 생을 마감할 때는 모든 이들이 한결같이 부질없는 생을 살았다 말한다.

생의 마지막 순간에 느끼는 부질없는 삶을 살았다는 후회의 말들이 지금 우리가 바라보는 하늘의 일면을 보면서 느껴진다.

그토록 정정한 하늘을 덮어버린 미세먼지를 보면서 숨이 막히는 고통을 느끼는 순간들이 바로 현시대의 실상이다. 미세먼지 위에 청정한 높푸른 하늘의 본모습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바로 우리 인간의 순수한 본연의 마음을 찾는 것이기도 하다. 쓸데없는 자존심은 일생을 망하고 아집으로 살아온 지난 시간들을 깊이 반성하며 이웃과 사회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사회공동체 의식을 가져야만 우리 마음속에 가려진 미세먼지가 사라질 것이다.

현 사회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이해라는 단어 낮은 곳에 서는 것이다. 하심(下心)을 갖고 세상을 접하게 되면 이해하지 못할 것이 없고 측은지심으로 상대를 바라보면 이해하지 못할 것이 없고, 측은지심으로 상대를 바라보면 이해하지 못할 것이 없으며 서로가 공감하는 사회가 만들어지고 하나가 되는 사회공동체가 이루어진다.

성서에 남에게 대접받고자 하는대로 남을 대접하라고 했다. 불교에서는 내게 해로운 것으로 남에게 상처주지 말라.

유교에서는 내가 원치 않은 것을 남에게 행하지 말라(己所不 欲施於人). 이슬람교는 내가 원하는 만큼 남을 위하지 않는 자는 신앙인이 아니다고 했다.

각 종교 경전에서는 바로 이해하려 들지 말고 상대의 처지를 생각하여 이해하고 공감하라는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마음을 갖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논어 위령편에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평생을 지켜나갈 만한 한마디 말이 있습니까”라고 묻자 공자 말하기를 “그것은 서(恕)이니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은 남에게 베풀지 않는 것이다”라고 했다. 이러한 역지사지의 마음을 갖으면 바로 용서라는 단어가 따른다.

역지사지의 마음을 통해서 용서의 마음이 절로 생긴다는 것이다. 상대의 입장을 생각한다는 것이 그리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

참 용서라는 것은 작게는 자신과 상대방을 포함한 주위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크게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사회 자체가 건강하게 회복될 수 있게 한다. 진정한 용서의 의미는 상처를 준 사람들을 향한 미움과 원망의 마음에서 스스로를 놓아주는 것이요, 용서는 단지 남에게 베푸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에게 베푸는 선물이다.

나만이 최고요 내 생각이 옳다는 자신의 이기적인 사고만 버린다면 상대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살맛 나는 사회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상대의 고통과 슬픔을 함께하고 그 감정이 느껴진다면 용서의 길이 열리고 서로의 갈등을 불식시켜 서로 공감하는 사회를 통한 화해와 공생의 길이 활짝 열리는 아름다운 사회건설을 이룰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