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강칼럼 - 인간관계(人間關係)
상태바
장강칼럼 - 인간관계(人間關係)
  • 장강뉴스
  • 승인 2019.03.20 10: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일중(성군관 전의)
▲ 최일중

기해년에는 인간관계가 한층 중요한 해가 되면 좋겠다. 왜냐하면 우리가 주위의 사람들과 인간관계를 잘 맺느냐의 여부가 행복과 성공으로 이끌기 때문이다.

그럼 인간관계란 무엇인가. 사람들 사이에 맺어지는 개인적이고 정서적인 관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인간관계라 한다. 마음을 터놓고 지낼 수 있는 친구나 동지 두 명만 있으면 인생은 성공한 것이라고 한다.

이런 친구들을 가진 사람들은 거의 덕이 있거나 사람을 헤아릴 줄 알며 진심으로 충고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마음 놓고 지낼 수 있는 동지나 친구가 많으면 무슨 일을 당해도 든든하다.

그러나 인간관계의 질은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자기중심적인 사고가 줄어들면 상대방이 처한 상황이 보이기 마련이다. 그리고 자기편의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것 역시 빼놓을 수 없다.

그러므로 오무(五無)의 사람과는 인간관계를 맺지 않는 것이 좋다. 여기서 오무(五無)는 무례(無禮),무식(無識,무도(無道),무능(無能)을 말하는 것이다.

인간관계를 맺지 않는 게 좋은 사람은 첫째는 무정한 사람이다. 사람은 인간미가 있어야 한다. 눈물도 있어야 되고, 사랑도 있어야 한다. 그래서 무정한 사람이거든 친구나 동지로 삼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둘째는 무례한 사람이다. 인간은 유일하게 예의를 아는 동물이다. 공자는 예(禮)가 아니거든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며 말하지도 말라고 했다. 이는 예의가 없으면 인간이 아니라는 뜻이다. 따라서 무례한 사람은 상종(相從)하지 않는다는 것이 좋다는 말이다. 맹자는 사양지심(辭讓之心)을 예의 근본이라고 했다.

셋째는 무식한 사람이다. 학문연구는 인간의 특권이다. 많이 공부한 사람은 대개 사고방식이 합리적이고 이해심이 깊으며 인격이 높기 때문에 친구나 동지로 삼기에는 적격일 것이다. 보통 무식한 사람을 친구로 삼지 말라는 말은 지적수준이 비슷해야 된다는 뜻도 될 것이다.

넷째는 무도한 사람이다. 사람이 가는 길에는 가서는 안 되는 길이 있고 되는 길이 있다. 그 길에 충실한 사람을 일러서 도리를 아는 사람이라고 하고 사명에 충실한 사람이라 한다. 그 길을 무시하고 제멋대로 살아가는 사람을 무도한 사람이라 하는 것이다. 그런 사람이 친구나 동지가 되면 오히려 욕(辱)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섯째는 무능한 사람이다. 인간은 창조적 동물이면서 상부상조할 줄 아는 동물이다. 인생을 살다보면 곤란에 처할 때도 있고 위기를 만날 때도 있으며 궁지에 몰릴 때도 있다. 그럴 때 친구나 동지를 도와주려면 인정만으로는 안 된다. 능력이 있어야 되고 적극성이 있어야 된다. 그래서 무능한 사람은 친구나 동지가 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럼 바람직한 인간관계는 어떤 것일까.

흔히 정(情)을 나눈다는 말이 있다. 말을 터놓고 할 친구나 동지가 없는 것은 매우 불행한 일이다.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서로 배려하고 사랑하는 정이 있기 때문에 마음이 따뜻해지고 정서적 안정과 행복감을 얻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관계는 바로 행복의 원천이다. 정을 나눌 줄 알고 행복감이 있어야 한다.

인간관계가 왜곡되고 무너지는 원인중 하나는 이기심(利己心)일 것이다. 서로 상대방에게 바라기만 하는 것, 나의 이익을 위해 상대를 이용해 먹으려는 마음, 나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면 가까이 하고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으면 멀리 하려는 이기적 계산 같은 것이다. 나를 기쁘고 행복하게 해주는 사람은 두말할 것 없이 좋은 벗이다. 나에게 고통을 주는 사람은 나를 단련시켜 주고 있는 스승이다. 인간은 관계 속에서 자기 자신을 성장시키는 존재이다.

그런데 서로 사귀는데 그 좋은 인연이 오래 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대개 유념할 자리에 유념하지 못하고 무념할 자리에 무념하지 못하는 연고이다. 유념한 자리에 유념하지 못한다는 것은 자기가 무슨 방면으로든지 남에게 은혜를 입고도 그 은혜를 잊어버리는 것이다. 또 무념할 자리에 무념하지 못한다는 것은 자기가 무슨 방면으로든지 남에게 은혜를 준 후에 보답을 바라는 마음이 있어 저 은혜 입은 사람이 혹 나에게 잘못할 때에는 전 일에 은혜 입혔다는 생각으로 미워하는 마음을 일어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치를 잘 알아서 유념할 자리에는 반드시 유념하고 무념할 자리에는 반드시 무념하는 것이다. 그리고 바라는 바가 없어야한다. 그러면 서로 사귀는 사이에 그 좋은 인연이 오래가게 되고 그 인연이 낮은 인연으로 변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